온수 해동이 닭가슴살의 해동 시간 단축, 품질 유지 및 식품 안전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by CheapLifer posted Nov 26,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Sensory quality and food safety of boneless chicken breast portions thawed rapidly by submersion in hot water (2009)

https://doi.org/10.1016/j.foodcont.2008.09.011

 

해당 논문은 닭가슴살을 냉동 상태에서 신속히 해동하기 위한 뜨거운 물(60°C) 해동법이 기존의 냉장 해동법과 비교하여 품질과 안전성 측면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일반 가정 및 음식점에서 흔히 사용되는 해동 방식이 각각 장단점이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시간 절약과 품질 유지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해동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주요 연구 결과

1. 해동 시간

  • 뜨거운 물 해동은 두께에 따라 2~8.5분 소요, 냉장 해동은 10~15.5시간 소요되어 70배 이상 시간 절약 효과를 보였다.

2. 육즙 손실

  • 뜨거운 물 해동 시 육즙 손실은 평균 2.4%로 냉장 해동(1.4%)보다 약간 더 높았으나, 눈에 띌 정도로 큰 차이는 아니었다.

3. 미생물 성장 위험성

  • 뜨거운 물 해동 중 살모넬라균의 성장률은 최대 0.18 log CFU로 예측되어 미미한 증가를 보였다.

  • 반면, 실온(20°C)에서 4시간 동안 방치했을 경우 0.87 log CFU로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모델링되어 실온 방치보다 훨씬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관능 평가

  • 관능 평가단은 두 해동 방식으로 처리된 닭가슴살 샘플 간의 맛, 질감, 육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느끼지 못함

  • 평가 기준은 주로 부드러움, 풍미, 건조감으로 구성되었으며, 결과적으로 두 방법 모두 품질 유지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output.png

 

그래프 설명

1. Thawing Time vs Thickness

  • 닭가슴살의 두께에 따른 해동 시간이 뜨거운 물 해동과 냉장 해동에서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였다.

    • 뜨거운 물 해동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며,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시간이 늘어나지만 여전히 짧은 시간이 소요된다(최대 520초).

    • 냉장 해동은 모든 두께에서 시간이 훨씬 오래 걸리며 최대 930초 이상 소요된다.

  • 뜨거운 물 해동은 시간이 중요한 상황에서 훨씬 효율적인 방법이다.

2. Thawing Loss Percentage vs Thickness

  • 두께에 따라 해동 중 발생하는 육즙 손실율을 뜨거운 물 해동과 냉장 해동으로 비교하였다.

    • 뜨거운 물 해동의 육즙 손실율(2.1~2.5%)이 냉장 해동(0.8~1.7%)보다 약간 높다.

    • 하지만 두 방식 모두 육즙 손실이 크지 않아 실질적인 품질 차이는 미미하다.

  • 뜨거운 물 해동은 품질 유지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시간 절약을 우선시할 때 적합한 선택이다.

3. Predicted Salmonella Growth vs Thawing Rate

  • 해동 속도(°C/min)에 따라 살모넬라균 성장 가능성을 예측한 그래프이다.

    • 해동 속도가 빠를수록 살모넬라균의 성장률이 낮아진다(0.10 log CFU 증가).

    • 해동 속도가 느릴수록 미생물 성장 가능성이 높아진다(최대 1.23 log CFU 증가).

  • 뜨거운 물 해동과 같은 빠른 해동 방법은 미생물 성장 억제 측면에서도 안전한 선택이다.

 

소비자 및 식재료 관리에 주는 의미

1. 시간 절약

  • 뜨거운 물 해동은 냉장 해동 대비 70배 이상 빠르며, 즉각적인 조리가 필요한 상황에서 매우 유용하다.

2. 품질 유지

  • 관능 평가 결과, 소비자들은 해동 방식에 따른 맛이나 질감의 차이를 거의 느끼지 못했으므로, 품질 유지가 중요할 때도 활용 가능하다.

3. 식품 안전성

 

 

  • 미생물 모델링 결과, 뜨거운 물 해동은 살모넬라균의 성장률을 안전한 수준으로 억제하며, 실온 방치보다 훨씬 안전한 해동법으로 나타났다.

  • 단, 해동 후 즉시 조리가 필요하며, 미생물 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60°C 이하의 물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Articles

1 2